Spring (3) 썸네일형 리스트형 [Web 기본] 서블릿(servlet)과 JSP(Java Server Page) 이전글 에서 동적인 페이지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WAS(Web Application Server)가 있고 효율적인 관리와 수행을 위해 web server와 분리했다고 했다. 이번글 에서는 WAS가 관리하는 servlet과 servlet을 보완한 jsp에 대해 알아보자. ※ 서블릿 클라이언트의 동적인 페이지 요청 -> 웹서버가 was 호출 -> was가 서블릿 실행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서블릿이 실행된다. 서블릿에서는 총 3개의 실행주기를 갖는다. 1) init() 2) service() -> (do get메서드 or do post메서드로 나뉨) 3) destroy() 여기서 중요한것이 서블릿 클래스는 싱글톤 패턴으로서 초기화 과정(init()메서드)과 소멸(destroy()메서드)과정은 딱 1회.. [Web 기본] Web server와 Wep Application Server 이전 글에서 웹의 기본적인 통신 방식, 최소한의 개념들에 대해 말했는데 이번에는 백엔드 위주로 정리를 해보려 한다. 이번 글에서 정리해 볼 키워드는 웹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등이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측에 요청을 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결과를 html 형식으로 제공한다고 했다.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가 정적인 페이지(이미 정해져 있는 화면, 바뀌는 요소가 X)라면 상관 없겠지만 동적인 페이지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즉, 요구사항에 따라 다른 결과페이지(html)를 제공 해야 한다면 2가지 방식이 있다. 1) 사용자가 요청할 모든 페이지를 미리 만들어놓고 그에 따라 제공 2) 서버 측에서 요구에 맞는 처리를 할 수 있는 로직을 설계 딱봐도 1번은 불가능해 보인다. 규모가 커질수록 엄청난 양의 .. [Web 기본] 웹(WEB) 동작 이해를 위한 최소한의 개념 web의 동작을 알기위해 알아야할 개념들 서버와 클라이언트 요청과 요청방식 Frontend와 Backend +) 통신과 관련한 개념을 너무 깊이 파고들면 방향이 네트워크에 치우칠 수 있으므로 웹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 서버(server) : 무엇인가를 제공하는 대상을 뜻한다. 클라이언트(client) : 무엇인가를 요청하는 대상을 뜻한다. 웹에서는 글, 이미지, 파일 등 원하는 정보들이 모두 요청과 제공대상에 포함이 된다. 위 그림과 같이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등 실생활의 검색기능을 갖춘 모든 기기들이 클라이언트라고 볼 수 있다. ※ 요청과 요청방식 클라이언트는 요청하는 측, 서버는 요청한것을 제공하는 측이다. 그럼 어떻게 요청하고 또 그것을 어떻게 제공하는 것일까? 1. 프.. 이전 1 다음